티스토리 뷰

 안녕하세요. 잠스 입니다!

 최근에 안드로이드 네비게이션을 쓰다가 도저히 이건 아니다 싶어 폐기를 하고 새로운 구상을 짜 보다가 이렇게 실천에 옮기게 되었습니다. 그것은! 무선충전 거치대에 휴대폰이나 태블릿을 거치를 해서 쓰는겁니다. ㅎㅎ

 물론 무선충전을 지원하는 기기 이어야지 가능하겠지요. 그렇다면 왜? 무선충전을 고집을 하느냐? 왜냐면 선이 지저분하게 보이는걸 싫어서 입니다. 거치를 하고 측면에 유선으로 케이블을 연결하면 옆으로 툭 튀어 나오는게 보기 싫거든요. 게다가 선 정리가 안되어서 USB나 시거잭으로 선이 추욱~ 늘어져 있는 모습도 지저분 하고요.

 여튼 완성된 모습은 다 셋팅이 되는대로 보여드릴께요 ㅎㅎ

 무선충전 거치대가 워낙에 다양한데 저는 자석으로 고정되는 제품을 선택했습니다. 왜냐하면 자석으로 거치하게 되면 기계적인 고정으로 하는것에 비하면 크기나 외관이 상대적으로 깔끔해 보여서 선택을 했습니다.

 그리고 이 제품은 무선 충전시 코일과 회로에 열이 발생하게 되는데 그 열을 식혀줄 냉각팬이 내장되어 있다는 겁니다! 실제로 구동해 보면 바람이 느껴집니다.

 패키지는 아래 사진과 같고요. 이렇게 언박싱 사진은 오랜만에 쓰는것 같네요 ㅎㅎ

 3만원대 제품 치고는 패키지가 깔끔하고 좋습니다.

구성품은 단순할것 같으면서 기본적으로 필요한 부분은 다 들어 있어서 나중에 셋업을 하는데에 있어 큰 불편함은 없을것 같습니다.

 대시 보드 유형에 따라 바닥 부품을 교체해서 쓰면 되고, 바닥 부품은 보통 양면테잎으로 고정하나 젤 패드로 고정할수 있도록 별도로 젤 패드가 같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다만 시거잭 아답터랑 USB 케이블이 짧은것 같아 이건 쓰지는 않을꺼고 다른것으로 사용을 해야겠네요...

 자석으로 고정하는 것이다 보니 자석으로 잘 고정이 될수 있도록 가운데가 뚫려 있는 철판(?) 같은게 2장 있습니다. 그것으로 케이스와 휴대폰 사이에 껴서 사용하거나 아니면 붙여서 사용을 하면 됩니다. 가운데가 뚤려 있는 이유는 아시죠? 무선충전 코일이 위치한 부분은 저렇게 뚤려 있어야 됩니다.

 무선충전 코일이 위치한 부분에 금속 재질의 물질이 가리고 있으면 충전시 문제가 발생할 소지가 있으므로 주의해야 됩니다.

 그래서 설명서를 보면 대표적인 휴대폰 마다 어디 위치에 금속 철판을 붙여야 하는지 그림으로 설명이 잘 되어 있습니다.

 거치대 뒷면 부분입니다.

 전원 공급을 위한 마이크로5핀 usb 단자가 있고 그 위에 후면 부분이 구멍이 뚫려 있는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 저 내부에 냉각 팬이 있어서 충전시 저 내부에 있는 냉각팬이 돌면서 냉각을 시켜주게 되는거죠. 실제로 뒤에 손을 대 보면 바람이 느껴집니다.

 차량에 설치 하기전에 우선 테스트를 해봅니다.

 우선 급한대로 휴대폰으로 해보니 잘 붙으면서 충전이 됩니다.

 생각보다 고정은 잘 되는것 같습니다. 뒤집거나 흔들어도 쉽사리 떨어져 나가지 않았거든요.

이정도의 고정력이면 일단 휴대폰은 문제 없겠네요. 하지만 나중에 제가 쓸 넥서스7 태블릿을 사용하면 어찌 될지 궁금해 지네요.

 만약에 고정이 약하면 휴대폰으로만 써야 할지도 모릅니다. ㄷㄷㄷ;;;

 

결론!

첫 인상은 좋습니다.

 깔끔한 디자인이며, 안정적인 충전을 위해 냉각팬이 있다는 점은 어떠한 환경에서든 안정적인 성능을 보여주지 않을까 생각이 듭니다.

 물론 실제로 사용해보면 알게 되겠지요? ㅋㅋ

 기존에 안드로이드 네비게이션 자리에 저것을 어서 설치를 해봐야 겠네요. +_+

 나중에 설치 이후 후기로 뵐께요. ㅂㅂ~

 

※ 개인 자금으로 직접 구매하여 쓰는 후기 입니다.

 

 

 

 

 

 

댓글